
들어가기전에오늘은 ‘의중임금(意中賃金, Reservation Wage)’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의중임금은 근로자가 노동을 제공하기 위해 스스로 ‘최소한 이 정도는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임금 수준을 뜻합니다. 이 임금선은 노동공급 의사, 실업 기간, 임금 협상력에 직결되며, 거시경제적으론 노동시장 참여율·실업률·임금 구조를 설명하는 핵심 지표이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의중임금의 정의, 결정요인, 측정 방법, 실제 연구사례, 그리고 정책적 시사점까지 폭넓게 살펴보며, 우리가 합리적 임금결정과 고용정책 수립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탐구해보겠습니다. 목차1. 의중임금이란?2. 의중임금의 중요성3. 의중임금 결정 요인4. 의중임금의 측정 방법5. 연구·통계 사례6. 정책적 시사점7. 의중임금의 ..

들어가기전에오늘은 외은(外銀) 지점의 ‘숨은 자본’이라 불리는 을기금(乙基金, Capital B)을 살펴봅니다. 을기금은 외국은행 국내지점이 자기자본(규제상 자본)으로 인정받는 명목상의 자본금으로, 국내 여신(대출)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도록 설계된 특수 제도입니다. 은행법상 지급보증한도·동일인 여신한도 등 각종 규제는 지점의 자기자본 규모를 기준으로 정해지는데, 지점 형태로만 영업하는 외국은행은 주식·후순위채 발행이 어렵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한국은행 RP(환매조건부) 자금·본지점 장기차입금 등을 자본으로 간주해 주는 장치가 바로 을기금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① 을기금의 정의 ② 제도적 의의 및 활용 ③ 구성 항목·계산 방식 ④ 정책‧감독상 적용 사례 ⑤ 한계와 향후 과제를 차례로 정리합니다. 목..

들어가기전에오늘은 ‘은행인수어음(Bankers’ Acceptance, BA)’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은행인수어음은 상업거래에서 발생한 만기일시불 지급어음을 은행이 지급을 보증(인수)하여 신용도가 높은 유통성 강한 단기채권으로 전환한 것입니다. 국제무역·원자재 수입 등에서 수출업체는 조기 현금화하고, 수입업체는 결제유예 효과를 얻어 거래 당사자 모두의 자금 운용을 돕는 대표적 무역금융 수단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BA의 정의, 구조, 발행 절차, 그리고 시장에서의 활용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목차1. 은행인수어음(BA)란?2. BA의 핵심 기능과 장점3. BA 발행 구조와 참여자4. BA 발행 절차5. BA 시장의 실제 적용 사례6. BA 관련 규제·감독7. BA의 위험과 고려사항8. 마치며1. 은..

들어가기전에오늘은 ‘은행경영공시제도( Bank Management Disclosure System )’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은행경영공시제도는 은행의 건전성·수익성·유동성·리스크 관리현황 등을 정기적으로 대중에게 공개하도록 의무화한 제도로, 예금자·투자자·정책당국이 은행의 실제 재무 상태와 위험 수준을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는 금융시장 안정성과 직결되며, 1998년 도입 이후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2024년 7월부터는 공시항목이 대폭 확대·세분화되었습니다. 목차1. 은행경영공시제도란?2. 왜 중요한가?3. 공시 구성 항목4. 공시 절차와 일정5. 실제 활용 사례6. 정책·규제와의 연계7. 한계와 비판8. 마치며1. 은행경영공시제도란?은행경영공시제도는 은행이 재무제표뿐 아니라 자본..